반응형

전체 글 112

[네트워크] Application Layer (1)

Application Architectures 1) 클라이언트-서버 구조 서버 : - 항상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를 Always-on Host라고 한다. - 고정 IP 주소 (Permanent IP Adress)를 가진다. 클라이언트 : - 서버와 소통하면서 네트워크에 연결되었다 끊겼다 함. - Intermittently Connected - 동적 IP 주소를 가질 수 있으며, 바뀔 때 서버에게 알려주어야 한다. 2) P2P 구조 - 간헐적으로 연결되는 호스트인 peer가 서로 데이터 교환을 할 수 있는 구조. - 개별적으로 서비스를 요청 및 제공하며, 관리가 복잡하다. - 임의의 End System이 직접 소통함. (peer) - 자가 확장성(Self Scalability) 자체적으로 확장성이..

[알고리즘] 재귀 트리 Recursion Tree

T(n)의 복잡도를 추정하기 위해, 즉 알고리즘의 시간복잡도를 모델링하기 위해서 재귀트리를 사용합니다. 재귀트리를 이용해 시간복잡도를 구하기 위해서는 점화식이 필요한데, 점화식을 다양한 높이의 재귀호출에서 발생할 비용을 나타내는 노드가 있는 트리 구조로 변환합니다. 시간 복잡도를 구하기 위해 높이와 층별 노드합을 구해야 하는데, 높이는 n층에서의 일반항을 구해 나타내며(필기 참조), 노드합은 하나의 깊이에서 노드를 모두 더해 나타냅니다. 계수가 같고 합이 일정한 경우 점화식이 T(n) = 2T(n/2) + cn의 꼴이므로 T(n)은 호출 시마다 2개의 T(n/2)를 호출합니다. 따라서 트리가 그림과 같이 그려지게 되고, 각 층의 노드합은 cn이 되며, 그러므로 O(nlogn)의 시간복잡도를 가지게 됩니다..

알고리즘 2022.10.17

[알고리즘] Dynamic Programming (동적 계획법)

동적 계획법, Dynamic Programming(DP)는 최적화 이론의 한 종류로, 특정 값을 구하기 위해서 다른 범위의 값을 이용해 효율적으로 값을 구하는 알고리즘으로, 쉽게 말해 답을 재활용하는 알고리즘이다. 답을 구하기 위한 계산을 반복하는 구조, 즉 같은 답을 계속 내서 다른 값을 이용해야 하는 문제(대표적으로 피보나치 수열)에 매우 뛰어난 방법이다. 분할 정복 기법 - 큰 문제를 작은 문제로 쪼개어 풀이하는 알고리즘에서 값을 저장하는 로직이 추가되었다고 할 수도 있다. 가장 중요한 아이디어는 문제를 재계산(예를 들어 재귀적으로 풀이하는 기법)하지 않는 것이고, 이를 막기 위해 값을 기억하거나 테이블을 만들어 해결한다. 그러므로, 최종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단계를 한 번 씩만 풀게 된다는 것을 ..

알고리즘/DP 2022.10.11

[알고리즘] 점근 표기법 Asymptotic Notations (Big-O, Omega, Theta, Little-o, Little omega)

점근 표기법, Asymptotic Notation을 활용해 우리는 극한(입력값 n이 충분히 클 때)에서 함수의 동작을 설명할 수 있습니다. 주로 시간 복잡도(Time Complexity)에서 사용합니다. 특정 함수를 다른 함수들을 통해 비교하여 그 특정 함수가 어느 정도 범위를 가질지 예측하는 것으로 이것을 통해, 알고리즘의 우열을 구할 수 있고 어떤 알고리즘이 더 효율적인지 분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T(n) = 10n^2 + 7n + 102라고 하면 낮은 차수의 항을 삭제하고, 최고차항의 계수를 지워 n^2으로 나타냅니다. Big-O Notation 가장 많이 사용되는 점근표기법, 빅 오 표기법(Big-O notation)입니다. 필기 사진에 나와있듯, 빅오 표기는 f(n) = O(g(n)) ..

알고리즘 2022.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