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네트워크 13

[네트워크] Network Layer (1) - Intro

네트워크 계층은 통신 계층으로부터 세그먼트를 받아 데이터그램으로 처리한 후에 다시 통신 계층으로 전송해주는 계층이다. Sender, 즉 송신 측에서는 세그먼트를 데이터그램화 해주는데, 이 과정을 헤더로 감싸준다고 해서 encapsulation, 캡슐화라고 한다. 인접 라우터로 데이터그램을 전송하는데, 입력 링크에서 출력 링크로 데이터그램을 전달해준다. Receiver, 수신 측에서는 링크 계층(네트워크 계층의 하위 계층)으로부터 받은 데이터그램에서 세그먼트를 추출하여 이를 통신 계층으로 전송한다. 이 과정은 모든 호스트와 라우커에서 동작해야 한다. Routing / Forwarding 네트워크 계층에서는 라우팅과 포워딩의 두 과정이 있습니다. 라우팅은 목적지까지 최적의 경로를 찾아주는 것으로 일종의 네비..

[네트워크] Application Layer (2) - HTTP

HTTP는 응용 계층 프로토콜로 클라이언트와 서버로 나누어져 동작하는데, 클라이언트는 사용자, 웹 브라우저 쪽으로 웹에서 필요한 것들을 서버에 요청/수신/표시한다.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클라이언트가 필요한 객체를 보내준다 HTTP는 안정적인 전송이 가능한 TCP를 사용하는데, 이 TCP로 클라이언트와 연결을 맺는다. 클라이언트가 80번 포트(HTTP는 80번 포트 사용)를 통한 TCP 연결을 생성하고 서버가 이 연결을 승인하면, 브라우저와 웹 서버, 즉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필요한 HTTP 메시지를 교환하고, 교환이 완료되면 연결을 종료하는 과정으로 통신이 이루어진다. 이때, 서버의 부담을 줄이기 위하여, 서버는 과거에 있었던 요청에 대한 정보를 유지 및 관리하지 않고, 사용자에 대한 ..

[네트워크] Application Layer (1)

Application Architectures 1) 클라이언트-서버 구조 서버 : - 항상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를 Always-on Host라고 한다. - 고정 IP 주소 (Permanent IP Adress)를 가진다. 클라이언트 : - 서버와 소통하면서 네트워크에 연결되었다 끊겼다 함. - Intermittently Connected - 동적 IP 주소를 가질 수 있으며, 바뀔 때 서버에게 알려주어야 한다. 2) P2P 구조 - 간헐적으로 연결되는 호스트인 peer가 서로 데이터 교환을 할 수 있는 구조. - 개별적으로 서비스를 요청 및 제공하며, 관리가 복잡하다. - 임의의 End System이 직접 소통함. (peer) - 자가 확장성(Self Scalability) 자체적으로 확장성이..